
XSD(XML Schema Definition)의 이름에 있는 정의(Definition)라는 단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XSD는 XML의 스키마를 정의한 파일이다. 물론 정의 파일 자체도 XML이다. Additional userspecific information to the element 정해진 규칙에 따라 XML 문서의 내용이 구조화되도록 가이드하는 파일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는 과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위의 예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

개발 과정 중에 XSLT를 만났다. 평소에 잘 쓰지 않으니 처음 만났을 때는 늘 그렇듯이 암호처럼 보인다. 그래도 무엇인지는 알아야 용도대로 쓸지, 아니면 다른 방법을 적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잠시나마 XSLT를 알아가는 과정을 가지고자 한다. XSL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의 의미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역시 변환(Transformations)이다. XSLT의 핵심 기능은 XML 문서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정의한 것이다. 정리하면 위의 그림과 같다. 응용 형태와 XSLT 프로세서에 따라 결과는 다른 형태의 XML 문서가 아니라 PDF 문서나 SVG, PNG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transition configuration f..

커서 모양을 바꿀때 사용합니다. 링크가 없는 곳에 링크처럼 표시하고 싶다면 pointer로 커서 형태를 지정합니다. auto crosshair default e-resize help move n-resize ne-resize nw-resize pointer progress s-resize se-resize sw-resize text w-resize wait 마우스를 각 항목에 올리면 커서 모양이 바뀝니다. 확인해 보세요. ☞auto ☞crosshair ☞default ☞e-resize ☞help ☞move ☞n-resize ☞ne-resize ☞nw-resize ☞pointer ☞progress ☞s-resize ☞se-resize ☞sw-resize ☞text ☞w-resize ☞wait

다양한 개발에서 사용되는 색상을 정리한 것이다. 어떤 시스템에서는 #FFFFFF 처럼 16진수로 RGB(Red, Blue, Green) 색상을 표시하기도 하고, 영문 이름을 기술할 수 있는 곳도 있고, 10진수로 표시하기도 하며 RGB 색상에 추가로 투명도(Alpha)를 붙이기도 한다. 색상 영문 이름 16진수 표시 10진 표시 ■■■■■■■■■■ white #FFFFFF 255,255,255 ■■■■■■■■■■ ivory #FFFFF0 255,255,240 ■■■■■■■■■■ lightyellow #FFFFE0 255,255,224 ■■■■■■■■■■ yellow #FFFF00 255,255,0 ■■■■■■■■■■ snow #FFFAFA 255,250,250 ■■■■■■■■■■ floralwhite #..